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소설 때문에 이미지를 망친 위대한 과학자 - 이휘소 박사
    맛난고의 정보 2022. 9. 5. 16:26
    반응형

     

    이휘소 박사
    (미국명 : 벤자민 휘소 리)

    이휘소 박사는
    미국에 건너가서 물리학계에
    많은 업적을 남기고

    42세 교통사고로 사망한
    비운의 천재 물리학자였음.




    그 업적은 어차피
    지금 내가 여기 소개해도
    못 알아 먹을 것이 자명하기 떄문에
    딱히 쓰진 않음

    솔직히 나도 이해 못 함...

    단적으로 핵개발 주도를 했던 오펜하이머가
    아인슈타인보다 훌륭했다고 말한 수준

    대충 연구한 주제들 3~4개가
    그대로 노벨상을 받았던 수준임.




    그런데 한국에서

    90년대에 이휘소가 핵무기를 만들던 
    과학자라는 소설들이 하나둘씩 나옴...

    특히 김진명이라는 소설가라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라는 소설에
    이휘소 박사를 모델로 한 듯한 인물을 등장시킴.
    이 인물은 한국을 위해 미국에서 핵무기 설계도
    를 빼와서 박XX 대통령에게 갖다바치고 숨진
    비운의 애국 과학자라는 설정임.

    이 불쏘시개 같은 소설이 히트쳤기 때문에




    이휘소 박사는

    미국에서 핵무기 만들다가 
    대한민국을 위해 핵무기 설계도 숨겨서 
    출국하려다가 FBI에게 암살당한 인물이라고 
    이미지가 왜곡되어버림

    이후 이휘소 박사 유족측에서

    이 같은 소설은
    명예훼손감이니 
    출판금지 시켜달라 했으나

    당시 
    애국 국뽕이 중요했던 사회 풍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해당 소설가가 정치한다고 난리쳐서 였을까

    재판부에서는
    이 거 그래도 유명하 게 만들어 준 거니 
    명예훼손 아님 

    이라는 소리를 지껄이며 

    이 소설은 아직 팔리고 있는 중...




    참고로 이휘소 박사는

    전공분야가 핵물리학도 아니고
    소립자 물리학 이었고

    그 누구보다
    독재정권을 비판하고 
    핵무기 반대에 앞장섰던 사람임 


    반응형

     


    +추가 댓글 >

    대중은 그런 거 신경 안 쓰지


    사견이다만 사람들이 가짜뉴스 같은 거에도 
    잘 휩슬리지만 
    김진명이란 작가가 쓴 책들도 좀 그래...


    김진명 소설이 쓰레기인 것 이전에도 
    저 '핵과 관련된 밀명(?)'은 은근히 썰로 돌았어.
    난 저분이 자기 다리를 절개해서 다리뼈에 
    핵무기 설계도를 숨겨 들어왔단 얘길 무려 
    초등학교 담임선생님한테 들었다고;;;;;;


    그게 저 위에 소설 이휘소 내용이었다고 함


    문익점이냐고 ㅋㅋㅋ


    옛날에도 마이크로 필름이란 게 있어서 
    그런 짓 안 해도 충분히 숨겨올 수 있는데 
    참 루머도 괴상하게 퍼졌네 


    더구나 저 양반은 유신독재를 
    엄청 비판하던 사람이라
    저 일에 협력할 리가 없기도 하고


    저 소설은 이제 잊혀져가고 있으니 
    박사님에 대해서 더 널리 알려야지
    뿅뿅같은 불쏘시개 소설나부랭이로 
    왜곡한 거도 무조건 첨부해서


    노벨상은 살아있는 사람에게만 수여되기 때문에 
    오래만 살아계셨으면 무조건 노벨상 수상이 
    가능했다고 보는 한국인 두 분이 있음.
    한분이 소립자를 연구하신 이휘소 박사님이시고
    한분은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모든 반도체
    에 들어가는 MOSFET 라는 스위치를 개발하신 
    강대원 박사님이 계심


    근데 이휘소 박사님 경우에는 살람이랑 
    와인버그(돌아가심 ㅠㅠ 이분이 쓰신 우주론 
    교재 읽는 중이었은데…)가 노벨상을 받아서 
    아마 살아계셨으면 받으셨겠지만, 
    강대원 박사님은 후대에 MOSFET에서 
    노벨상이 안 나온 걸로 알아서 무조건까진 
    아닌 듯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