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우리가 쓰고 있는 GPS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맛난고의 정보 2022. 9. 4. 15:16
    반응형

     

    때는 1973년,  기존에 사용 중이었던 
    TRANSIT 항법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미군은 GPS를 개발한다.




    이렇게 어디에서든 최소 3개 이상의 위성으로 
    부터 신호를 받는 방식으로

    오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던 
    TRANSIT 시스템을 보완하는 GPS는

    한동안 미군 전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던 1983년 9월 1일...




    소비에트 연방이 "민간" 항공기인 
    대한항공 007편을 격추하는 대참사가 일어난다.

    91년, 소련으로 부터 건내받은 블랙박스 기록을
    조사해 본 결과

    당시 조종사들이 이륙 후 흔히 사용하던 
    INS 항법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방위 고정모드로만 비행하여 소련 영공을 
    침입해버렸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조종사들이 왜 항법 시스템을 전환하지 
    않았는가는 밝혀지지 않음)




    이에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유감을 표하며 
    83년 9월 16일, 군용으로만 사용하던
    GPS 시스템을 민간에 공개할 것을 발표하였다.




    이후 항법시스템으로 INS 대신 GPS를 
    적용시키게 되었고

    민간 공개된 GPS는 각종 네비게이션 등에 
    쓰이며 인류 발전에 보탬이 되었다.

    대한항공 007편 사건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반응형

     


    +추가 댓글 >

    당시 민항기를 정찰기로 개조하는 경우도
    있어서 걍 떨궜다는 말도 있음


    80년대 초반은 어떻게 해서든지 
    저새끼 조지자는 생각밖에 안 하던 때라...


    80년대 초는 진짜 차가운 전쟁이 이어지던 
    시절이니까...


    근데 생긴 거 보면 또 그런게
    위가 당시 대한항공 해당 여객기의 
    사고직전 도색
    아래가 당?시 미군 수송기 도색임


    저 사건으로 대한항공 비행기는 미국 군용기랑
    구분되게 하얀색에서 파란색으로 칠한다더라


    gps가 무슨 약자인가요


    Global Positioning System


    그래서 왜 ins는 안켰대


    이건 안 밝혀졌음..


    INS 정렬에 실패한 채 스케줄 늦어지는 걸 
    우려해 출발했다는 추측이 있음
    자이로스코프를 쓰는 거라 미세조정에 
    시간이 꽤 걸림


    글 내용 보완하자면 민간용에는 군용과 달리 
    의도적인 오차가 있어서 GPS를 사용하는 
    제품들은 이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쓰고 있음


    요즘은 별로 오차를 안 줍니다


    대신 군용정도의 정밀도가 안 나오게 
    보정한 값이라며


    군용처럼 정확해 버리면, 민간 테러리스트들
    등이 악용할 수 있으니깐


    걸프전 때 시험삼아 민간에 군용 정밀도 
    제공하게 해봤는데 전쟁 끝나고 
    귀신같이 차단함


    그 GPS를 국가에서 내 차에 달아줬지(양돈농장)
    실시간 감시 당하고있지(방역목적)


    얘 국가에서 관리한대!!!!


    차량용 전자발찌라니


    정보 정부가 감시하고 있어요!


    우리 핸드폰에 쓰이는 위성 시스템은 퉁쳐서 
    GPS라고 하긴 하지만
    미국 gps부터 러시아 EU 일본거까지 
    다 가져다가 씀


    사고 83년
    블랙박스 91년
    gps 민간개방 83년
    시간 순서 어케된 거임


    그야 블랙박스는 소련이 숨겨 오다가 
    한국하고 수교하면서 건네준거니까요


    소련 망하기 전까지도 안넘겨주고 배째라하고
    버티다가 소련 망하고 나서야 블랙박스를 
    넘겨줌
    그 전까진 거진 10년여간 대체 그날 무슨 일이 
    있었는지도 알 수 없었고...


    그리고 저 GPS로 인해 모든 항법사
    (대학6년이상 공부)가 단번에 짤린다.


    여담으로 gps로 현재 위치를 알려면 
    gps 위성의 위치도 알아야하는데, 이건 위성이 
    느린 속도로 계속 데이터를 뿌리고 있음..
    근데 그 속도가 워낙 느리기 때문에 스마트폰
    에선 그냥 휴대폰 무선 데이터를 이용해서 
    위성 위치 정보를 받아버림.
    자동차용 네이게이션보다 스마트폰 gps가 
    더 빨리 잡히는 게 이 것 때문임


    예전엔 GPS 대역만 썼지만
    만 러시아의 GLONASS, 중국의 BEIDOU, 
    유럽의 GALILEO까지 넓혀서 쓰고 있고 
    자율주행에 따라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지기 위해
    L2 L5 밴드라고 추가적인 주파수 밴드까지 
    추가해서 정확도를 높이고 있는 중임. 
    GPS가 5G통신 기술에도 많이 쓰이는데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선 GPS를 쓸 수가 
    있어서리.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