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920년대 평균 집값이 2023년 평균 집값과 같다고 함
    맛난고의 유머 2024. 2. 19. 23:43
    반응형

     

     

     

     

    같은 1kg 골드바 10개로 살수 있다고 하네...


    반응형

     


    +추가 댓글 >

    이게 그 금본위제인지 뭔지 하는 그거냐


    보니까 인플레이션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부동산 자산가치가 폭등햇는데, 금가격도 
    그 폭등한 자산가치수준으로 올랐다고 함


    달리 말해서 다른 가치는 그대로인데 화폐가치만 
    떨어지는거네


    게다가 금은 이미 매장량 한계가 있고 생각보다 
    많지가 않아서 다른 자원에 비해 희소성이 높음


    1970년대의 달러와 비교하면
    2000년대 달러가치는 90퍼센트 이상 
    평가절하당함


    최저임금은 어떠려냐
    달리말하면 90퍼센트이상 늘지 않았다면
    노동의 가치는 날이갈수록 폭락하는거네


    ㅇㅇ 금값이 오르내리긴 하지만, 사실상 얘는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이라고 봐야함.
    그러니 얘도 인플레이션 영향을 거의 안받으니까
    평균적으로 보자면 그냥 같은 가격..


    노동의 가치는 나날히 폭락하지만 거기에 또다른
    함정은 기업의 성장과 노동임금의 성장 불균형은
    미래로 가면 갈수록 커지는 중임 그래서 임금이 
    올라도 기업이 성장하는 이유는 사실 임금을 
    회사가 성장하면 성장할 수록 깍아버려서 임ㅋㅋ
    모순 ㅋㅋ


    가격은 둘째치고 골드바 하나 갖고싶다


    금이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이 되는 이유


    ㅇㅇ 금은 사실상 실물 자산임..
    게중에서도 부동산 같이 수량이 제한된 실물자산


    역시 투자는 금이군...
    가치가 지금이나 예전이나 비슷해


    심지어 고대 이집트 때나 지금이나 
    금의 구매력은 비슷함


    비슷한 건 투자가 아니라 온존수단인게..


    금이 안전자산인 이유.


    실례가 안된다면 엑설런트 하나만 주십시오


    국세청에서 나왔습니다 문좀 열어주세요


    빈살만 금고 직촬.jpg


    부동산도 쩐다는거 아님?


    역시 금이야


    금보다 미국 인덱스 펀드 사놓고 까먹는게
    더 이득이긴 할건데...


    1920년대 집값이 2023년 집값과 같다고 함 
    // 100년


    지금이나 그때나 집값이 금값이라는거네!


    금덩어리 특 : 살 때도 수수료 떼이고 
    팔 때도 수수료 떼임. 꽤 많이!


    다른 나라는 모르겠는데 
    우리나라에서 금 투자는 솔직히 사고 팔 때 
    떼이는게 너무 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