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의외로 질기게 살아남는 소니 스마트폰
    맛난고의 정보 2022. 3. 20. 14:08
    반응형

     

    2300억원 흑자

    LG가 소니처럼 했었어야 했음
    이익이 나오는 자국에 집중한다던지


    반응형

     


    +추가 댓글 >

    얘네 도대체 어떻게 살아남는거지….


    버틴다가 옳은 표현일듯
    어차피 스마트폰 포기하면 죽도밥도
    안되니까 죽었다고 생각하고 
    계속 밀어붙이기


    일본 애들도 아이폰 쓰지 않나?
    어디서 사는거여..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에서 상위권 먹고 
    있어서 거기랑 연계하는 카메라 뷰가 가능한
    미니 모니터 같은 제품으로 내놓고 있더라.. 
    전문가급이 쓰는 카메라 미니 뷰 모니터는 
    편 싸다구 날리는 가격이라 오히려 가성비가 
    있다는 듯?


    엘지랑은 다르지 엘지는 자국내에서도 
    안사주는데 저긴 그래도 소니폰 내수로 좀 
    사주잖아


    lg도 첨엔 자국에서 사줬어
    지들이 온갖 삽질 다해서 안 사게 된거지


    구조조정해서 간신히 살아남은 거임. 지금은
    일본 국내 점유율도 간당간당해서 곧 엘지꼴
    날 거 같은데


    소니는 안드로이드 내수 경쟁자가 없으니까
    절감 전략이 통하지
    LG는 출시 국가를 줄이고 싶어도 
    자국 내에서조차 삼성에 밀려서 불가능함


    병1신짓만 골라하면서 망해버린 LG가 
    이상한거지 일본은 국산 좋아하니 아이폰 
    제외하면 선택할게 소니밖에 없음


    소니폰이 흑자가 날수 밖에 없는게
    삼성의 보급형 a80 성능에
    s10 가격으로 팜..
    그리오 애플폰 쓴다고 하는데
    들어본 바론 보통 보조금 있는 애플 보급형을 
    쓴다고 함. 문제는 가격이 최신폰 가격


    안드로이드 내수 경쟁자 없다는 댓글은 뭐 
    보고 하는 얘기지.
    당장 2020년 출하량 봐도 샤프(12%) 
    삼성(11.1%) 소니(7.6%) 후지쯔(7.3%)인데.
    쟤들이 살아남은 건 가젯 덕후들한테 먹히는
    일부 기능 특화랑 고급화 전략 덕분임.
    적게 팔아도 많이 남기겠다는게 먹혀서 
    흑자 나는거.


    그리고 지금 다른 회사들은 안드로이드 
    업데이트 3번 하고 보안 업데이트도 5년 
    지원하는데 소니는 업데이트 2번, 보안 
    업데이트도 2년이라고 발표했음.
    오래 쓰는 유저층을 그냥 다 내치고, 
    기기변경 주기 짧은 유저만 상대하는 전략
    인거임. 이건 운좋게 먹힌 거지 LG가 했다고
    됐을거 같지 않음.


    이게 맞는말인데 한참 아래에있네 지금 
    소니는 적절한 몸집줄이기랑 하이엔드 
    하이스펙에 그거를 뛰어넘는 가격으로 
    살아남고있음 소비자로서는 너무 높은 
    마진율때문에 글쎄올시다긴 한데 회사로서는
    진짜 적절한 선택을 했다고 생각함. 아마 
    국내에 있었어도 스펙덕후랑 얼리어답터들 
    업고 나름 지분 차지했을거라고 생각함... 
    소프트웨어 퀄리티는 접어두자구요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