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경제, 성장 목표 달성에도 구조적 문제와 사회적 갈등에 직면맛난고의 시사 2025. 1. 18. 12:56반응형
중국 경제는 2023년 마지막 분기에 반등하며 2024년 성장 목표인 5%를 달성했다고 베이징 당국이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수십 년 만에 가장 느린 성장률 중 하나로, 중국은 장기화된 부동산 위기, 지방정부의 높은 부채, 청년 실업 문제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국가통계국장은 이러한 경제적 성과가 "어려운 환경 속에서 이루어낸 것"이라고 언급하며, 지난해 말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시행했다고 밝혔습니다. 과거 베이징은 성장 목표를 거의 놓친 적이 없지만, 현재 상황은 다릅니다.
전문가들은 2024년 중국이 연간 4.9% 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차입 비용 감소와 수출 증가 등에 기반하고 있지만,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5,000억 달러(약 651조 원) 규모의 관세 부과 위협으로 인해 긴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 요인이 중국의 성장 목표 달성에 방해가 되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가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반응형
1. 관세와 수출 감소
중국의 수출은 지난해 성장의 주요 동력이었지만, 현재는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미국, 캐나다, 유럽연합은 중국의 과도한 생산에 대해 비판하며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수출업체들에게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기업들은 북미와 유럽 외의 신흥 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이 북미 및 유럽만큼의 높은 수요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중국 기업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시진핑 주석은 2035년까지 중국을 저가 상품의 세계 공장에서 첨단 기술 강국으로 탈바꿈시키고자 하지만, 현재의 관세 상황에서 제조업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남을 수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
2. 소비 저조
중국 가계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으며, 부동산 위기 이전에는 경제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습니다. 정부는 부동산 시장과 금융 시장의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과잉 공급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부동산 시장 침체가 수년간 중국 경제 성장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2024년 마지막 분기 동안 가계 소비는 중국 경제 활동의 29%에 불과하여, 팬데믹 이전의 59%에서 크게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소비 부진을 상쇄하기 위해 신차 및 고급품 수출을 강화하고 있으며, 가전제품 교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조치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치만으로는 경제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3. 투자 감소
시진핑 주석은 첨단 산업에 대한 투자를 약속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은 태양광 패널, 전기차 배터리 등에서 세계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경제 불황과 관세,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외국 기업들의 중국 투자 의욕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밝은 미래를 보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외국 및 국내 투자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경제 지원 조치가 잠재적인 새로운 미국 관세의 영향을 부분적으로만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사회적 갈등과 불만)
중국 디센트 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 6월부터 9월 사이에 노동자와 부동산 소유자들이 주도한 900건 이상의 시위가 발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경제적 불만과 부의 침식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은 중국 공산당에게 큰 우려 사항이 될 것입니다. 결국, 폭발적인 성장은 중국을 세계 강국으로 만들었고, 번영의 약속은 지도자들이 반발을 억제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경제적 도전은 이러한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중국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근본적인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시진핑 주석의 정책 방향이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반응형'맛난고의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대통령, 틱톡 금지령 유예 발표로 틱톡 미국 내 서비스 재개 결정 (1) 2025.01.20 틱톡 금지 조치가 미국에서 시작되어 동맹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커져, 틱톡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 (2) 2025.01.19 제프 베이조스의 블루 오리진, 뉴 글렌 로켓 발사로 스페이스X와의 경쟁 본격화 (1) 2025.01.17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인질 및 수감자 교환을 포함한 휴전 협정 합의...미해결 문제들때문에 성공 여부는 불확실 (1) 2025.01.16 캐서린 미들턴 왕세자비, 로열 마스덴 병원 방문하여 암 완치 소식 전하고 환자들에게 격려의 메시지 전달 (2)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