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전세는 한국에만 있다?
    맛난고의 정보 2023. 11. 6. 08:07
    반응형

     

     

    전세는 한국에만 있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

    왜 자꾸 전세 얘기할 때
    전세계 유일한 악습 

    이런 식으로 말하는지 모르겠다...


    반응형

     


    +추가 댓글 >

    잘 모르는데 아는 척 하면서 쓰면 
    먼가 자기가 이긴 거 같거든


    이란 눈나 예뻐


    키미야 누님 이쁘지!


    00년생 이시래!


    00년생이 왜 누나야...
    내 막내동생이 99년생이야!!


    돈 필요한 집주인이 집 담보고 사금융 
    하던건데 지금은 뭐.. ㅋㅋㅋ


    맞아 제도의 원래 취지는 
    전세권자가 갑이고 집주인이 을이지 ㅋ


    프랑스엔 없군


    프랑스에도 있음. 경제 발전하고 신용사회로 
    넘어가면서 전세가 사라진 것임. 
    제도 자체는 남아있는 것으로 앎. 아무도 
    이용 안 하니깐 현재 프랑스 사람들은 
    있는지도 모르지..


    프랑스 식민지였던 루이지애나에도 
    전세 제도는 있음.


    체급이 비슷한 나라만 조사해봐서 
    그러는거 아닐까


    중동에도 있던 것 같은데;;


    '있기는 하다' 뿐이지 한국만큼 광범위하게 
    일반화되지는 않았지.


    내가 찾아보니까 맞음
    법적으로는 본문 외에 미국 일부주와 인도, 
    프랑스 등에도 전세제도가 있는데,
    한국만큼 대중화된 나라는 없다고 함.
    보통은 월세고, 특별한 경우 전세로 
    가는거지... 한국처럼 전세시장이 따로 
    돌아갈 정도의 나라는 유일하다고 하네


    영상 보면 저 나라들도 월세로 현찰 받고 
    싶어서 집주인들이 전세는 잘 안한다고 해.
    없어져 가는 추세인 걸 알 수 있지.


    전세가 우리나라에만 있다고 한건 언론이 
    퍼트린 소리였을텐데... 나도 그거 티비에서 
    보고 그렇구나 했으니까


    있던없던 그게 중한가 
    전세 사기 치기 쉬워서 문제잖아 ㅋㅋ


    제대로 된 나라엔 없는 제도라고 고쳐서 
    말해야겠네


    제대로 된 나라라기 보다는 '이자율이 낮은 
    나라'에서 점점 없어지는 제도라고 봐야 함.
    전세 제도는 기본적으로 월세로 받는 값
    보다 이자로 받는 금액이 높거나 거기에 
    근접할 경우 발생하는 제도기 때문.


    근데 이자율이 낮다는건 어차피 나머지는 
    죄다 고위험 상품이란 뜻 아닌가?


    이자율하고 상관없어. 우리나라 이자율 
    제일 낮던 코로나 때 전세가 가장 활발했는
    데. 그냥 금융권도 아니고 개인이 맘대로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릴 수 있게 하는걸 정상
    적인 나라에선 허용을 안해서 그럼


    개발 도상국이나 후진국에서 이자율이 높은 
    건 해당국 금융 자체가 고위험이기 때문이
    긴 함. 다만 그걸 제대로된 나라가 아니라고
    하기에는 좀 그런 면이 있음. 사실상 준 전세
    라 할 수 있는 고 보증금 월세 제도도 있는
    데, 보증금과 월세간 서로 리스크 헷지 관계
    기 때문에 그게 문제라고 할 수 없으니까.


    있기는 한데
    우리나라만큼 흔하지 않는 걸로.


    제대로 금융제도가 정비되었음 없는게 
    정상인 제도는 맞긴함


    금융제도라기 보다는 자체 이자율과 상관성
    이 더 큼. 월세로 받는게 더 많냐, 이자로 
    받는게 더 많이 받냐의 차이. 대부분 후진국
    이나 개발 도상국이 이자율에 있어서 
    선진국보다 더 쌔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없어지는 거임.


    전세계에 우리만 있는 건 아니지만 
    악습은 맞잖아


    저금리나 고성장 사회선 충분히 나올 법한 
    시스템인데 그걸 뭔 악습이라고 표현을 
    하나. 폐단으로 치면 월세 미친듯이 올라서 
    서민들 집세에 월급 반 집어넣는 사회는 또 
    건전한건가


    외국도 대놓고 전세가 없다뿐이지 보증금 
    이빠이 받고 월세 조금 받는 형태들은 
    있더만


    미국도 보증금 존나 쎄게 내고 관리비만 
    내는 케이스가 많음 이건 전세아니지않냐 
    하면 또 할말은 없긴하지만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선진국" 에는 
    전세제도가 없거든


    전세가 집을 구하는 3가지(매매, 전세, 월세)
    중 하나로 인식되서 그렇지... 뜯어보면 개인
    과 개인간의 사적인 금융거래임. 
    집값 상승기일땐 전세가 단점보단 장점이 
    많지만 집값 하락기, 이제 인구수가 줄어
    드는 상황에서는 단점이 너무커서 점차 
    없어져야하는 제도인 건 분명함


    개인과 개인간의 사적 금융거래가 불법은 
    아니라서. 집값 하락기에 매매 월세는 안전
    한가 물으면 그것도 아니지. 서브 프라임 
    모기지가 전세때문에 일어난건 아니잖아.


    전세제도자체가 위험하다는거지
    개인과 개인이 몇억 이상의 거래를 사적
    으로하는건데... 님말대로 사금융이 불법은 
    아니지만 전세는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일어나는게 문제라고 봄. 마이너한 방법 중 
    하나면 전세사기 등을 보호하기 위한 행정, 
    금융비용이 낮아 가능할꺼같은데 너무 많음


    월세 좋다고 전세 없애자는 사람은 
    1. 자가 주택 소유자 
    2. 부모님 주택에서 거주하는 자
    3. 사회생활에서 돈이 궁하지 않은 직종군
    4. 지방 소도시지역 거주자로 보증금 500에 
    월 30 생각하는 지방러
    누가 전세가 안 무서워서 사는 줄 아나… 
    수도권만 가도 조그만한 5평 원룸이 기본 
    1000만원에 월 50시작임. 그것도 공과금 
    별도... 서울은 오피스텔 기준 기본 월70만원 
    생각해야 함… 월 30만원으로는 진짜 판자촌
    이나 고시원 하급 수준으로 살아야 할 정도.
    다들 바보라서 수도권에서 전세대출 끼고 
    사는 게 아님… 서울 월세는 진짜 비쌈.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